논문투고규정 > 규정/양식

학회

HOME학회 규정/양식

규정 논문투고규정

작성자경기학회

  • 등록일 24-02-07
  • 조회170회

본문

 

 

 

 

  

 『경기지역학연구』 논문투고 규정


1. 일반 사항
 
1) 발간 및 논문 투고
『경기지역학연구』는 년 1회(8월)에 발간하며, 투고마감은 6월 30일로 한다.
2) 제출 파일
논문은 무기명논문, 논문유사도검사, 연구윤리서약서 파일 3개를 경기학회 홈페이지(gaas.or.kr<학회지>논문투고> 게시판을 통해 제출한다.[경기학회 논문투고](클릭)  단, 용량이 10MB이상인 파일은 gaas.journal@gmail.com으로 송부한다.
3) 온라인 배포에 대한 저작권이양동의
논문 게재 후 학회 홈페이지(gaas.or.kr)와 논문 검색사이트(dbpia, riss, krpia 등)를 통해 배포되는 것에 동의한다.
4) 저작권 책임
논문에 사용된 그림, 표의 출처를 밝히며 이에 대한 저작권 책임은 저자에게 있다.
5) 연구윤리서약
논문작성시 위조, 변조, 표절 등 학문적 진실성을 훼손하는 어떠한 연구부정행위와 연구부적절행위를 하지 않을 것을 서약한다.

2. 작성 방식

1) 표기
원고는 한글 사용을 원칙으로 하며 한자나 외국어 표기가 필요할 경우에는 ( ) 안에 한자나 외국어를 넣는다.
2) 작성 양식 및 원고 분량
반드시 학회의 논문작성양식을 다운받아 작성하여야 하며, 분량은 200자 원고지 120매 내외로 한다.
3) 요약
국문 요약과 영문 <ABSTRACT>을 반드시 별도로 첨부하며, 국문 요약은 700자, 영문 요약은 1500자 내외로 작성한다.
4) 주제어
국문 요약과 영문 <ABSTRACT> 아래에는 각각 한글과 영문으로 5-6개의 주제어를 기재한다.
5) 저자의 표기
논문의 저자가 2인 이상인 경우에는 반드시 제1저자와 공동저자를 구분하여 밝히고 각각의 소속을 명기한다.


3. 장 절 항의 표기 형식

장절 형식은 다음과 같은 순으로 한다. 
I ……
 1 ……
  1) ……
   (1) ……

4. 작품과 인용 표기

1) 논문에 사용되는 작품이나 인용 표기는 다음을 따른다.
 「 」 : 작품, 논문, 영화, 드라마, 연극
 『 』 : 작품집, 신문, 잡지, 저서
 ‘ ’ : 강조, 간접 인용
 “ ” : 직접 인용


5. 각주 표기

1) 자료의 출처나 원문 및 참고문헌을 밝히고자 할 때 각주(footnote)를 사용한다.
2) 각주를 표시하는 위치는 해당 문장이나 용어 말미의 윗편에 일련번호를 표시하고, 각주의 내용은 해당 쪽의 아래에 싣는다.
3) 각주는 본문보다 1포인트 작은 9포인트로 설정한다.
4) 각주의 인용 문헌은 아래 예시와 같이 표기한다.

(1) 단행본의 인용 경우
- 필자명, 『저서명』, 출판사, 출판년도, 쪽수.
예) 강진갑, 『한국문화유산과 가상현실』, 북코리아, 2007, 15쪽.
예) Groothuis, R., Unmasking the New Age, Intervarsity Press, 1986, p. 23
(2) 단행본 안의 논문, 또는 글을 인용할 경우
필자명, 「소논문제목」, 『저서명』, 출판사, 출판년도, 쪽수.
예) 김기덕, 「영상역사학 커리큘럼의 모색」, 『영상역사학입문』, 생각의 나무, 2003, 10쪽.
(3) 한글 번역본인 경우
원필자명, 원저서명, 번역자명, 『번역서명』, 출판사, 출판년도, 쪽수.(원저서명은 양서의 경우 이탤릭체로 한다.)
(4) 학위논문의 경우
필자명, 「논문제목」, 학교 및 학위구분, 출판년도, 쪽수.
예) 김인문, 「한국 문화콘텐츠 정책에 대한 비판적 고찰」, 호서대 학교 문화콘텐츠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7쪽.
(5) 정기간행물 속의 논문인 경우
필자명, 「논문 또는 글의 제목」, 『잡지명』 호수, 발행처(또는 발행주체)명, 출판년도, 쪽수.
예) 신광철, 「대학에서의 문화콘텐츠 인력 양성의 현재와 미래」, 『인문콘텐츠』 32, 인문콘텐츠학회, 2014, 53쪽.
(6) 신문의 경우
「기사제목」, 『신문명』, 연월일, 면수
(7) 웹페이지의 경우
웹사이트 주소, 검색일
(8) 동일한 문헌 인용 표기
- 바로 위에 있는 동일한 문헌의 각주는 ‘위의 글’(또는, 위의 책)로 표기
- 인용한 글보다 앞서서 제시된 동일한 문헌은 ‘필자, 앞의 글’(또는, 앞의 책)로 표기
- 인용한 글이 위의 글(또는, 위의 책)인 경우로서 쪽수도 동일할 때는 ‘같은 글’(또는, 같은 책)로 표기

 
6. 참고 문헌 표기

1) 배열 순서는 국문, 중문, 일문, 영문(기타 로마자어 사용 언어 포함) 순으로 배열하고 각각 그 언어의 자모순으로 배열한다.
2) 각주의 인용 문헌 표기와 같은 방식으로 하되 영문 저서의 저자명은 First Name, 2nd Name의 순으로 한다.


 

 

 

 
회비납부농협 301-0345-5752-11  경기학회
기관명 : 경기학회 | 고유번호 610-82-87509
이메일 : gaas2015@naver.com(대표메일) gaas.journal@gmail.com(학회지메일) | 전화번호 : 031-251-9751 | 주소 : (16304) 경기 수원시 장안구 정조로1060번길 21-28, 2층 (송죽동 460-12)

since 2015 ⓒ 경기학회 All rights reserved.